반업주부의 일상 배움사
레이 달리오의 경제 기계 작동 원리 :: ChatGPT 정리 본문
How The Economic Machine Works by Ray Dalio
https://www.youtube.com/watch?v=PHe0bXAIuk0
[ 요약 ]
경제는 단순한 거래의 총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거래는 매우 간단합니다. 각 거래는 구매자가 판매자와 상품, 서비스 또는 금융 자산을 위해 돈이나 크레딧을 교환하는 것입니다. 경제는 생산성 증가, 단기 부채 사이클, 장기 부채 사이클의 세 가지 주요 동력에 의해 움직이며, 이를 이해할 수 있다면 경제 전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시장은 모든 구매자와 모든 판매자가 동일한 상품에 대해 거래를 하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경제는 모든 시장의 거래로 구성됩니다. 총 지출액과 판매 수량을 더하면 경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사람, 기업, 은행, 정부는 모두 거래에 참여하며, 정부는 세금을 징수하고 중앙은행은 통화량과 신용을 통제합니다. 중앙은행은 금리와 화폐 발행을 조절하여 신용을 형성합니다. 대출자와 차입자 간의 신용은 이자율에 따라 형성되며, 신용은 경제에서 가장 중요하지만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신용이 생성되면 즉시 부채로 바뀌고, 이자를 더한 후 상환되어 거래가 정산됩니다. 대출자는 신용을 받아 지출을 늘릴 수 있고, 지출이 경제를 움직인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합니다. 대출자가 상환할 수 있는 능력과 담보를 가지면 대출 기관은 그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을 편안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소득이 증가하면 대출을 늘릴 수 있고, 이러한 자기 강화 패턴은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며, 이것이 경기 순환의 이유입니다. 생산성 성장은 장기적으로 가장 중요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신용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는 우리가 생산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소비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경기 변동은 대략 5~8년 주기와 75~100년 주기로 발생하며, 이러한 변화는 대부분 누구나 느끼지만 가까이서 보기 때문에 주기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세 가지 큰 힘인 생산성, 신용, 거래가 상호작용하여 경제를 구성하는데, 신용은 생산성보다 중요합니다. 대출을 통해 지출을 앞당기는 것이 주기를 만들며, 이는 개인과 경제 모두에게 적용됩니다. 신용은 기계적이고 예측 가능한 일련의 사건을 설정하므로 돈과 다르게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돈을 지불하기 전까지는 자산과 부채가 사라지지 않음.
대부분의 돈은 신용이며 미국 신용 총액은 50조 달러, 총 통화량은 3조 달러.
신용이 없는 경제에서는 지출을 늘리는 유일한 방법은 생산을 늘리는 것.
신용이 있는 경제에서는 대출을 통해 지출을 늘릴 수 있음.
신용이 있는 경제에서는 더 많은 지출과 소득 증가를 가져오지만, 장기적으로는 그렇지 않음.
신용이 나쁜 것은 아니며, 갚을 수 없는 소비를 통해 돈을 빌리는 것이 나쁨.
효율적인 자원 배분과 소득 창출을 통해 빚을 갚을 수 있으면 좋음.
신용이 있는 경제에서 거래를 추적할 수 있고, 자기 강화 패턴을 볼 수 있음.
차입은 주기를 만들고, 주기가 올라가면 결국 내려와야 함.
경제는 확장과 침체의 사이클을 반복합니다.
확장기에서는 지출과 물가가 증가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너무 심해지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상하여 경기 침체를 유도합니다.
침체기에서는 물가가 하락하고, 디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침체가 심화되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인하하여 경기를 부양시킵니다.
금리 인하로 대출과 소비가 증가하면 다시 확장이 시작됩니다.
단기 부채 주기는 대출자와 차용자의 신용 의지에 따라 지출이 결정되며, 신용이 용이하면 경제가 확장되고, 그렇지 않으면 경기 침체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주기는 일반적으로 5-8년 동안 지속되며, 주로 중앙은행에 의해 통제됩니다. 각 사이클은 이전 사이클의 더 많은 성장과 더 많은 부채로 끝나며, 이는 사람들이 빚을 더 많이 지고 있어도 대출 기관이 더 자유롭게 신용을 확장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최근의 호황으로 인해 발생하며, 부채는 계속 증가하지만 소득도 거의 같은 속도로 증가하여 상쇄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을 부채 부담이라고 부릅니다.
부채 부담이 증가하다가 어느 순간부터 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면, 사람들은 지출을 줄이고 소득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는 신용 가치를 떨어뜨리고 대출이 줄어들고 부채 상환은 계속 증가하게 되며, 이는 장기적인 부채 정점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은 2008년 미국을 비롯한 유럽과 다른 국가들에서도 발생했으며, 이제 경제는 레버리징을 시작하게 됩니다.
충분한 돈 대출 불가능 → 차입자 자산 판매 → 자산 판매로 인한 주식 시장, 부동산 시장 폭락.
자산 가격 하락 → 대출자 신용 가치 하락 → 가난감 느낌, 지출, 수입 감소, 신용 감소, 대출 감소.
경기 침체와 차이점 → 대출자 부채 부담 커서 이자율 낮춰도 완화 불가능 → 대출 중단, 경제 신용 가치 하락.
디레버리징을 위해 부채 줄이기 → 4가지 방법이 있음.
사람과 기업은 지출을 줄이고, 채무 불이행과 구조조정으로 부채를 줄이며, 부의 재분배와 중앙은행의 새 화폐 발행을 통해 경기 침체를 디레버리징할 수 있습니다. 지출 감소는 디플레이션을 초래하고, 기업은 일자리를 감소시키며 대출자는 채무 불이행으로 경제 위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불황은 자산 가치 하락과 함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술집에서 바텐더에게 돈을 갚지 않으면 자산이 사라지며, 부채 구조 조정으로 인해 부채 부담이 악화됩니다. 이는 중앙 정부에 영향을 미치며, 정부는 지출을 늘려야 합니다. 이로 인해 정부의 예산 적자가 증가하고, 이를 메우기 위해 부자들이 세금을 내게 됩니다.
정부는 부의 재분배를 촉진하기 위해 부유층에 대한 세금을 인상하고, 이로 인해 부자들과 반쪽짜리 부자들 간의 긴장이 고조되며 사회적 무질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앙은행은 경기 부양책으로 새로운 돈을 찍어내고, 이를 국채와 금융 자산 매입에 사용합니다. 이는 대공황 기간에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2조 달러가 넘는 돈을 찍어냈을 때와 마찬가지입니다.
전 세계의 중앙은행들은 돈을 찍어 금융 자산을 사들여 자산 가격을 끌어올리는데, 이는 금융 자산을 소유한 사람들에게만 도움이 됩니다. 중앙 정부는 돈을 찍어내지 못하지만 국민들의 손에 돈을 쥐어줄 수 있습니다.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중앙은행은 국채를 매입해 정부에 돈을 빌려주고, 정부는 지출을 늘려 경기 부양 프로그램과 실업 수당 등을 실행합니다. 이는 국민의 소득을 증가시키고 부채를 증가시키지만, 경제의 총 부채 부담은 낮아질 것입니다. 디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방식의 균형을 맞추어야 하며, 이를 통해 아름다운 경제성장이 가능합니다.
지출과 부채를 줄여야 경제와 사회적 안정 유지 가능.
돈 찍어내면 인플레이션 발생 가능성 있음.
중앙은행은 소득 성장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
소득 증가율은 이자율보다 높아야 함.
돈 찍어내는 것은 인플레이션 발생 가능성 있으므로 선호되지 않음.
독일의 1920년대 경제위기(Direverging)에서 너무 많은 돈 찍어내서 인플레이션 발생하는 예시 있음.
정책 입안자들은 균형을 유지하며 디레버리징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디레버리징은 느리지만 부채 부담이 줄어들어 경제가 성장할 수 있게 됩니다. 부채 부담을 줄이려면 대략 10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며, 이 과정에서는 세 가지 경험 법칙을 따라야 합니다. 첫째, 부채가 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하지 않도록 하세요. 둘째, 소득이 생산성보다 빠르게 증가하지 않도록 하세요. 셋째,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세요. 이는 간단한 조언이지만, 잘 지켜진다면 경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정책 입안자를 충분히 주의하지 않지만, 이 템플릿은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한글 번역 ]
30분 안에 경제 기계가 작동하는 방식.
경제는 단순한 기계처럼 작동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작동 방식에 동의하지 않습니다,
이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불필요한 경제적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저는 단순하지만 실용적인 경제 템플릿을 공유해야 한다는 깊은 책임감을 느낍니다.
틀에 박히지 않은 방식이지만, 이 방식은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하고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글로벌 금융 위기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30년 넘게 저에게 잘 작동하고 있습니다.
시작하겠습니다.
경제는 복잡해 보이지만 단순한 기계적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몇 가지 간단한 부분과 수많은 간단한 거래로 구성되며, 이 거래는 수없이 반복됩니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무엇보다도 인간의 본성에 의해 주도됩니다,
경제를 움직이는 세 가지 주요 동력을 만들어냅니다.
첫째, 생산성 증가입니다.
두 번째는 단기 부채 사이클입니다.
그리고 세 번째는 장기 부채 사이클입니다.
이 세 가지 힘을 살펴보고, 이 세 가지 힘을 서로 겹쳐 놓으면 경제 움직임을 추적하고 현재 상황을 파악하는 데 좋은 템플릿이 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경제의 가장 단순한 부분부터 시작하겠습니다.
거래입니다.
경제는 단순히 경제를 구성하는 거래의 총합입니다,
그리고 거래는 매우 간단한 것입니다.
우리는 항상 거래를 합니다.
무언가를 구매할 때마다 트랜잭션이 발생합니다.
각 트랜잭션은 구매자가
판매자와 상품, 서비스 또는 금융 자산을 위해 돈이나 크레딧을 교환합니다.
크레딧은 돈처럼 소비됩니다,
따라서 사용한 돈과 사용한 크레딧 금액을 합치면
총 지출액을 알 수 있습니다.
총 지출액이 경제를 움직입니다.
지출한 금액을 판매한 수량으로 나누면 가격을 알 수 있습니다.
그게 다입니다.
이것이 바로 트랜잭션입니다.
거래는 경제 기계의 구성 요소입니다.
경제의 모든 사이클과 모든 힘은 거래에 의해 움직입니다,
따라서 거래를 이해할 수 있다면 경제 전체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시장은 모든 구매자와 모든 판매자가 동일한 상품에 대해 거래를 하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밀 시장, 자동차 시장, 주식 시장이 있습니다,
그리고 수백만 가지의 물건에 대한 시장이 있습니다.
경제는 모든 시장의 모든 거래로 구성됩니다.
모든 시장에서 총 지출액과 총 판매 수량을 더하면,
경제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아주 간단합니다.
사람, 기업, 은행, 정부
모두 방금 설명한 방식으로 거래에 참여합니다,
좋은 서비스와 금융 자산을 위해 돈과 신용을 교환합니다.
판매자 중 가장 큰 구매자는 정부입니다,
정부는 두 가지 중요한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세금을 징수하고 돈을 쓰는 중앙 정부,
그리고 중앙은행은 다른 구매자와 판매자와는 다릅니다,
경제의 통화량과 신용을 통제하기 때문입니다.
중앙은행은 금리에 영향을 미치고 새로운 화폐를 찍어내는 방식으로 이를 수행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앞으로 살펴보겠지만,
중앙은행은 신용의 흐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저는 여러분이 신용에 주목해 주셨으면 합니다.
신용은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지만 가장 덜 이해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신용은 가장 크고 변동성이 큰 부분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구매자와 판매자가 시장에 가서 거래를 하는 것처럼,
대출자와 차입자도 마찬가지입니다.
대주는 보통 자신의 돈을 더 많은 돈으로 만들고 싶어합니다,
대출자는 보통 감당할 수 없는 물건을 사고 싶어합니다,
집이나 자동차처럼요,
또는 창업과 같은 무언가에 투자하기를 원합니다.
신용은 대출자와 차입자 모두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대출자는 빌린 금액을 상환할 것을 약속합니다,
원금과 이자라고 하는 추가 금액을 상환하겠다고 약속합니다.
이자율이 높으면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대출이 줄어듭니다.
이자율이 낮으면
더 저렴하기 때문에 대출이 증가합니다.
대출자가 상환을 약속하고,
대출자가 이를 믿으면 신용이 형성됩니다.
두 사람만 동의하면 신용은 무에서 유를 창조할 수 있습니다.
간단해 보이지만 신용은 까다롭습니다.
신용은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신용이 생성되는 순간
즉시 부채로 바뀝니다.
부채는 대출자에게는 자산인 동시에 차용자에게는 부채입니다.
나중에 대출자가 대출금을 상환할 때,
이자를 더하면 자산과 부채는 사라지고
거래가 정산됩니다.
그렇다면 신용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대출자가 신용을 받으면
지출을 늘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지출이 경제를 움직인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한 사람의 지출이 다른 사람의 수입이 되기 때문입니다.
생각해 보세요.
여러분이 지출하는 모든 달러는 다른 누군가의 수입이 됩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벌어들인 모든 달러는 다른 누군가가 소비한 것입니다.
따라서 내가 더 많이 지출하면 다른 누군가가 더 많이 벌게 됩니다.
누군가의 소득이 증가하면
대출 기관이 기꺼이 돈을 빌려주게 됩니다.
이제 그는 더 신용할 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입니다.
신용 가치가 있는 대출자에게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상환 능력과 담보입니다.
부채에 비해 소득이 많다는 것은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습니다.
상환할 수 없는 경우,
매각할 수 있는 귀중한 자산을 담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대출 기관은 그에게 돈을 빌려주는 것을 편안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득이 증가하면 대출을 늘릴 수 있습니다,
지출을 늘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람의 지출이 다른 사람의 수입이 되므로,
대출이 더 늘어나는 식으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자기 강화 패턴은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고
그리고 이것이 바로 경기 순환의 이유입니다.
거래에서는
무언가를 얻으려면 무언가를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얼마나 많은 것을 얻느냐는 생산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리는 학습하고 축적된 지식은
우리의 생활 수준을 높입니다.
우리는 이를 생산성 성장이라고 부릅니다.
창의적이고 열심히 일하는 사람들은
생산성과 생활 수준이 더 빨리 향상됩니다.
생산성과 생활 수준이 더 빨리 향상됩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닙니다.
생산성은 장기적으로 가장 중요합니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신용이 가장 중요합니다.
생산성 성장은 변동폭이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경기 변동의 큰 요인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신용은 우리가 생산한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소비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우리가 생산한 것보다 더 많이 소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소비하게 만들기 때문입니다.
경기 변동은 크게 두 주기로 발생합니다.
하나는 약 5년에서 8년이 걸리고
다른 하나는 약 75~100년이 걸립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변화를 느끼지만
너무 가까이서 보기 때문에 주기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너무 가까이서 보기 때문입니다,
주기로 보지 않습니다.
이 장에서는 한 걸음 물러서서
이 세 가지 큰 힘을 살펴보고
그리고 이 세 가지가 어떻게 상호작용하여 우리의 경험을 구성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은 얼마나 많은 혁신이나 노력 때문이 아닙니다.
그것은 주로 얼마나 많은 신용이 있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신용이 없는 경제를 잠시 상상해 봅시다.
이 경제에서 지출을 늘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수입을 늘리는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생산성을 높이고 더 많은 일을 해야 합니다.
생산성 향상만이 성장을 위한 유일한 방법입니다.
내 지출은 다른 사람의 소득이기 때문에,
저나 다른 사람의 생산성이 높아질 때마다 경제는 성장합니다.
거래를 따라가며 이 과정을 살펴보면
생산성 성장선과 같은 진전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대출을 하기 때문에 주기가 있습니다.
이것은 법이나 규정 때문이 아닙니다,
인간의 본성과 신용이 작동하는 방식 때문입니다.
차입을 단순히 지출을 앞당기는 방법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감당할 수 없는 물건을 사려면,
수입보다 더 많은 지출을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본질적으로 미래의 자신으로부터 빌려야 합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미래의 시간을 만들어서
돈을 갚기 위해 수입보다 지출을 줄여야 하는 시간을 만들게 됩니다.
이는 매우 빠르게 순환과 유사합니다.
기본적으로 빌릴 때마다 주기가 만들어집니다.
이는 경제뿐만 아니라 개인에게도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이 바로 신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왜냐하면 신용은 기계적이고 예측 가능한
기계적이고 예측 가능한 일련의 사건을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신용을 돈과 다르게 만듭니다.
돈은 거래를 결제하는 수단입니다.
바텐더에게 현금으로 맥주를 사면,
거래는 즉시 정산됩니다.
하지만 신용으로 맥주를 사면
바텐더를 시작하는 것과 같습니다.
나중에 지불하겠다는 약속을 하는 것이죠.
여러분과 바텐더는 함께 자산과 부채를 창출합니다.
신용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것과 같습니다.
나중에 바텐더에게 돈을 지불하기 전까지는
나중에 자산과 부채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부채가 사라지고 거래가 정산됩니다.
현실적으로 사람들이 돈이라고 부르는 것의 대부분은
실제로는 신용입니다.
미국의 신용 총액은
약 50조 달러에 달하며, 총 통화량은
약 3조 달러에 불과합니다.
신용이 없는 경제에서는
지출을 늘리는 유일한 방법은 더 많이 생산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신용이 있는 경제에서는 대출을 통해 지출을 늘릴 수도 있습니다.
지출을 늘릴 수도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신용이 있는 경제는 더 많은 지출을 하고
단기적으로는 생산성보다 소득이 더 빠르게 증가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그렇지만 장기적으로는 그렇지 않습니다.
오해하지 마세요.
신용이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나쁜 것만은 아닙니다.
갚을 수 없는 소비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면
나쁜 것입니다.
하지만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소득을 창출하여 빚을 갚을 수 있을 때 좋습니다.
예를 들어, 큰 TV를 사기 위해 돈을 빌린다면,
빚을 갚을 수 있는 소득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트랙터를 사기 위해 돈을 빌린다면,
그 트랙터로 더 많은 농작물을 수확하고
더 많은 돈을 벌 수 있다면 빚을 갚을 수 있고
생활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신용이 있는 경제에서 우리는 거래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신용이 어떻게 성장을 만들어내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연 소득이 10만 달러이고 부채가 없다고 가정해 봅시다.
여러분은 $10,000를 빌릴 수 있을 만큼 신용이 있습니다.
신용카드를 사용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따라서 수입이 $100,000밖에 되지 않더라도 $110,000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수입으로 지출하기 때문에,
누군가가 110,000달러를 벌고 있습니다.
부채 없이 110,000달러를 버는 사람은
11,000달러를 빌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는 110,000달러만 벌어도 121,000달러를 쓸 수 있습니다.
그의 지출은 다른 사람의 수입이며
그리고 거래를 추적하면
이 과정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자기 강화 패턴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차입은 주기를 만든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그리고 주기가 올라가면 결국에는 내려와야 합니다.
이것이 단기 부채 주기로 이어집니다.
경제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우리는 확장을 보게 됩니다.
단기 부채 사이클의 첫 번째 단계.
지출은 계속 증가하고
물가가 상승하기 시작합니다.
이는 지출 증가가
신용에 의해 촉진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무에서 유를 창조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출과 소득의 양이
상품 생산보다 빠르게 증가하면
가격이 상승합니다.
가격이 상승하면
우리는 이를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중앙 은행은 너무 많은 인플레이션을 원하지 않습니다.
문제를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금리를 인상합니다.
이자율이 높아지면
돈을 빌릴 수 있는 사람이 줄어들고
기존 부채를 갚는 데 드는 비용이 급증합니다.
신용카드의 월 페이먼트가
월 페이먼트가 올라간다고 생각해보세요.
사람들이 대출을 덜 받고
더 많은 부채를 상환해야 하기 때문에
소비할 수 있는 여윳돈이 줄어들고
따라서 지출이 느려집니다.
그리고 한 사람의 지출은
다른 사람의 소득이기 때문에
소득이 감소합니다,
등등의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사람들이 지출을 줄이면
물가가 내려갑니다,
우리는 이를 디플레이션이라고 부릅니다.
경제 활동이 감소하면
경기 침체가 발생합니다.
경기 침체가 너무 심해져
인플레이션이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
중앙은행은 금리를 낮춰
금리를 인하하여 모든 것이 다시 회복되도록 합니다.
금리가 낮으면
부채 상환이 줄어들고
대출과 소비가 증가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또 다른 확장을 봅니다.
보시다시피
경제는 기계처럼 작동합니다.
단기 부채 사이클에서
지출은 대출자와 차용자의 의지에 의해서만
대출자와 차용자의
신용을 제공하고 받으려는 의지에 의해서만 제한됩니다.
신용을 쉽게 구할 수 있으면
경제가 확장됩니다.
신용을 쉽게 구할 수 없을 때는
경기 침체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이 주기는 주로
중앙은행에 의해 통제됩니다.
단기 부채 주기는
일반적으로 5~8년 동안 지속되며
그리고 수십 년 동안 반복해서 발생합니다.
하지만 각 주기의 바닥과
각 사이클의 하단과 상단은
이전 주기의 더 많은 성장과
그리고 더 많은 부채로 끝납니다.
왜 그럴까요?
사람들은 그것을 밀어붙이기 때문에,
빚을 갚는 대신
빚을 갚는 대신 더 많이 소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것이 인간의 본성입니다.
이 때문에 오랜 기간에 걸쳐,
부채가 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하여
장기적인 부채 사이클이 만들어집니다.
사람들이 빚을 더 많이 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출 기관은 더 자유롭게 신용을 확장합니다.
왜 그럴까요?
모두가 일이 잘 풀리고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최근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에만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요?
소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자산 가치는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주식 시장은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호황입니다.
빌린 돈으로 상품, 서비스
금융 자산을 구매하는 데 돈을 지불합니다.
사람들이 그렇게 많이 할 때,
우리는 그것을 버블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부채는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소득은 거의 같은 속도로 증가하여
상쇄할 수 있습니다.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을 부채 부담이라고 부릅니다,
부채 부담.
소득이 계속 증가하는 한
부채 부담은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됩니다.
동시에 자산 가치도 상승합니다.
사람들은 막대한 돈을 빌려
막대한 돈을 빌려 자산을 구입합니다,
자산 가격은 더욱 상승합니다.
사람들은 부유해졌다고 느낍니다.
따라서 많은 부채가 쌓여도,
소득이 증가하면
자산 가치는 대출자가 오랫동안 신용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이런 상황이 영원히 지속될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실제로도 그렇지 않습니다.
수십 년에 걸쳐 부채 부담은 서서히 증가했습니다,
부채 상환액이 점점 더 커졌습니다.
어느 순간부터 부채 상환액이 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사람들은 지출을 줄이게 됩니다.
그리고 한 사람의 지출이 다른 사람의 소득이 되기 때문에,
소득이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이는 사람들의 신용 가치를 떨어뜨립니다,
대출이 줄어들고
부채 상환은 계속 증가합니다,
지출은 더욱 감소합니다.
그리고 사이클이 역전됩니다.
이것이 장기적인 부채 정점입니다.
부채 부담이 너무 커진 것입니다.
미국의 경우,
유럽과 나머지 많은 국가들
2008년에 이런 일이 일어났습니다.
1989년 일본과 1929년 미국에서 일어났던 것과 같은 이유입니다,
1929년 미국에서도 일어났습니다.
이제 경제는 레버리징을 시작합니다.
전달에서,
사람들은 지출을 줄이고
소득이 감소하고, 신용이 사라지고,
자산 가격이 하락하고
은행은 압박을 받고
주식 시장이 폭락하고
사회적 긴장이 고조되고
그리고 모든 것이 다른 방향으로 스스로를 먹어 치우기 시작합니다.
소득이 감소하고 부채 상환이 증가하면,
대출자들은 압박을 받고
더 이상 신용을 유지할 수 없게 됩니다,
신용이 마르고
그리고 대출자들은 더 이상 충분한 돈을 빌릴 수 없게 됩니다.
충분한 돈을 빌릴 수 없게 됩니다.
이 구멍을 메우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차입자들은 자산을 팔아야만 합니다.
자산을 팔려는 러시는
소비 도구와 동시에 시장에 넘쳐납니다.
이때 주식 시장이 폭락합니다.
부동산 시장이 폭락하고
은행은 곤경에 처합니다.
자산 가격이 하락하면
대출자가 담보로 제공한 자산의 가치도 떨어집니다.
이로 인해 대출자의 신용 가치가 더욱 낮아집니다.
사람들은 가난하다고 느낍니다,
신용이 급격히 사라집니다.
지출이 줄고 수입이 줄어듭니다,
재산 감소, 신용 감소,
대출도 줄어듭니다.
악순환의 연속입니다.
이는 경기 침체와 비슷해 보입니다,
하지만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금리를 낮출 수 없다는 것이 차이점입니다.
경기 침체기에는
이자율을 낮추면 대출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하지만 호황기에는
이자율을 낮추는 것은 효과가 없습니다.
이자율이 이미 낮기 때문입니다,
곧 0%에 도달합니다.
따라서 자극은 끝납니다.
미국의 이자율
1930년대에 0%를 기록했습니다,
그리고 2008년에 다시 0%를 기록했습니다.
경기 침체와 전달의 차이점
차이점은
대출자의 부채 부담이 너무 커져서
이자율을 낮춰도 완화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대출 기관은 부채가 너무 커져서
너무 커졌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대출자가 상환 능력을 상실하고
담보물의 가치가 떨어졌습니다.
채무자는 빚에 짓눌린 느낌을 받습니다.
더 이상 대출을 원하지도 않습니다.
대출 기관은 대출을 중단하고 대출자는 대출을 중단합니다,
경제는 신용 가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처럼요.
그렇다면 디레버리징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문제는 부채 부담이 너무 높다는 것입니다.
부채를 줄여야 합니다.
디레버리징에는 네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째, 사람, 기업,
지출을 줄이는 것입니다.
둘째, 채무 불이행과 구조 조정을 통해
채무 불이행과 구조조정을 통해 부채를 줄입니다.
셋째, 부의 재분배
부를 재분배합니다.
마지막으로, 넷,
중앙은행이 새로운 화폐를 찍어냅니다.
이 네 가지 방법은
모든 디레버리징과 현대사에서 일어났습니다.
보통 지출을 먼저 줄입니다.
방금 보았듯이, 기업들은 물론
심지어 정부도 허리띠를 졸라매고
지출을 줄입니다.
부채를 갚기 위해 허리띠를 졸라매고 지출을 줄입니다.
이를 흔히 긴축이라고 합니다.
대출자가 새로운 부채를 떠안는 것을 중단하고
오래된 부채를 갚기 시작하면
부채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반대의 현상이 발생합니다.
지출이 줄어들고
한 사람의 지출이 다른 사람의 수입이 되기 때문에,
소득이 감소합니다.
부채가 상환되는 속도보다 소득이 더 빨리 감소하고
부채 부담은 실제로 더 심해집니다.
우리가 보았듯이
이러한 지출 감소는 디플레이션이며 고통스러운 일입니다.
기업은 비용을 절감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곧 일자리 감소와
실업률이 높아집니다.
이는 다음 단계로 이어집니다.
부채를 줄여야 합니다.
많은 대출자가 대출금을 상환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합니다.
대출자의 부채는 대출 기관의 자산입니다.
대출자가 은행에 상환하지 못하면,
사람들은 긴장합니다.
은행이 상환하지 못할까봐 불안해하고
그래서 서둘러 은행에서 돈을 인출합니다.
은행은 압박을 받고 사람들은 사업을
은행은 채무 불이행을 하게 됩니다.
이러한 심각한 경제 위축은
바로 경기 침체입니다.
불황의 가장 큰 특징은
사람들이 자신의 재산이라고 생각했던 것의 상당 부분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는 것입니다.
술집으로 돌아가 봅시다.
맥주를 사서
술집 계산대에 올려놓았을 때
바텐더에게 갚겠다고 약속한 것입니다.
여러분의 약속은 바텐더의 자산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약속을 어기면
돈을 갚지 않으면
술값을 갚지 않으면
바텐더가 가진 자산은 아무런 가치가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사라진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대출자들은 자산이 사라지는 것을 원하지 않고
채무 재조정에 동의합니다.
부채 구조 조정은 대출 기관이 상환을 덜 받거나
또는 더 긴 기간에 걸쳐 상환받거나
또는 처음에 합의한 것보다 낮은 이자율로 상환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떤 식으로든 계약은 부채를 줄이는 방식으로
부채가 줄어듭니다.
대출 기관은 아무것도 없는 것보다는
아무것도 없는 것보다 조금이라도 있기를 원합니다.
부채는 사라지지만,
부채 구조조정으로 인해 소득과
소득과 자산 가치가 더 빨리 사라지므로
부채 부담은 계속 악화됩니다.
지출을 줄이는 것과 마찬가지로
부채 감축도 고통스럽고 디플레이션을 초래합니다.
이 모든 것이 중앙 정부에 영향을 미칩니다.
소득 감소와 고용 감소는
정부가 징수하는 세금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동시에
지출을 늘려야 합니다.
지출을 늘려야 하기 때문입니다.
실업자 중 상당수는
저축이 충분하지 않아
정부의 재정 지원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부는 경기 부양책을 마련하고
경기 부양책을 마련하고
경기 침체를 만회하기 위해 지출을 늘립니다.
정부의 예산 적자가 폭발적으로 증가
폭발적으로 증가합니다.
세금 수입보다 지출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뉴스에서 예산 적자 소식을 들으면
뉴스에서 예산 적자에 대한 소식을 들으면 이런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적자를 메우기 위해
정부는 세금을 올리거나
아니면 돈을 빌려야 합니다.
하지만 그 안에는 경기 침체와
수많은 실업자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 돈은 누구에게서 나올까요?
바로 부자들입니다.
정부는 더 많은 돈이 필요하고
그리고 부는 소수의 사람들에게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소수의 사람들에게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정부는 자연스럽게 부유층에 대한 세금을 인상합니다,
부의 재분배를 촉진합니다.
부의 재분배를 촉진합니다.
고통을 받고 있는 반쪽짜리 사람들은
부유한 반쪽을 원망하기 시작합니다.
부유한 반쪽은
약한 경제로 인해 압박을 받고
자산 가격 하락
세금 인상으로 압박을 받는 반쪽짜리 부자들은 반쪽짜리 부자들을 원망하기 시작합니다.
불황이 계속되면
사회적 무질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국가 내에서만 긴장이 고조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 간에도 긴장이 고조될 수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가 부족한 국가들 간에 긴장이 고조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정치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정치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1930년대에는
히틀러가 집권하게 되었고
유럽에서는 전쟁이, 미국에서는 대공황이 발생했습니다.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압박감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커집니다.
사람들이 돈이라고 생각했던 것의 대부분은
사실 신용이었습니다.
따라서 신용이 사라지면
사람들은 돈이 부족해집니다.
사람들은 돈이 절실하고
그리고 누가 돈을 찍어낼 수 있는지 기억하시죠.
바로 중앙은행입니다.
이미 금리를 거의 제로에 가깝게
거의 제로에 가깝게
중앙은행은 돈을 찍어낼 수밖에 없습니다.
지출을 줄이는 것과는 달리
부채 감축
부의 재분배와는 달리
돈을 찍어내는 것은 인플레이션과 경기 부양책입니다.
필연적으로,
중앙은행은 새로운 돈을
무에서
금융 자산과 국채를 매입하는 데
국채를 매입하는 데 사용합니다.
대공황 당시 미국에서
대공황 기간 동안
그리고 2008년에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가 2조 달러가 넘는 돈을 찍어냈을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전 세계의 다른 중앙은행들도
역시 많은 돈을 찍어낼 수 있습니다.
이 돈으로 금융 자산을 사들이면
자산 가격을 끌어올려
사람들의 신용 가치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이는 금융 자산을 소유한 사람들에게만 도움이 됩니다.
중앙은행은 돈을 찍어낼 수 있지만
하지만 금융 자산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중앙 정부는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수 있고
국민들의 손에 돈을 쥐어줄 수는 있지만
하지만 돈을 찍어낼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가 협력해야 합니다.
국채를 매입함으로써
중앙은행은 본질적으로 정부에 돈을 빌려주고
정부에 돈을 빌려주고
적자를 내고
지출을 늘리고
지출을 늘릴 수 있습니다.
경기 부양 프로그램과
및 실업 수당.
이는 국민들의 소득을 증가시키고
정부의 부채도 증가합니다.
그러나 경제의 총 부채 부담은 낮아질 것입니다.
지금은 매우 위험한 시기입니다.
정책 입안자들은 부채 부담이
네 가지 방법의 균형을 맞춰야 합니다.
디플레이션 방식은 인플레이션 방식과
인플레이션 방법과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균형을 제대로 맞추면
아름다운 배달 지역이 생길 수 있습니다.
배달 음료는 추악할 수도 있고
아름다울 수도 있습니다.
어떻게 하면 배달 음료가 아름다울 수 있을까요?
배달 음료는 어려운 상황이지만,
어려운 상황을
가능한 최선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것은
부채로 인해 빚을 내서
레버리지 단계의 불균형한 과잉보다 훨씬 아름답습니다.
아름다운 배달 음료에,
소득에 비해 부채가 감소합니다,
실질 경제 성장률은 플러스이고
인플레이션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이는 적절한 균형을 유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습니다.
올바른 균형을 유지하려면 특정 조합이 필요합니다.
지출을 줄이고, 부채를 줄이고,
부의 이전과 화폐 발행
경제 및 사회적 안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유지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돈을 찍어내면
인플레이션을 올리지 않을지 묻습니다.
신용 하락을 상쇄한다면 인플레이션은 발생하지 않을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지출이라는 점을 기억하세요.
돈으로 지불한 1달러의 지출은
1달러의 지출은
1달러를 신용으로 지불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냅니다.
돈을 찍어내면
중앙은행은 신용이 사라진
신용의 사라짐을
신용이 사라지는 것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서는
중앙 은행은
소득 성장률을 끌어올려야 합니다,
소득 증가율을
이자율보다 높은
이자율보다 높아야 합니다.
이것이 무슨 뜻일까요?
기본적으로 소득은 부채 증가보다
부채가 늘어나는 속도보다 빨라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한 국가가
부채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100%라고 가정해 봅시다.
즉, 국가가 보유한 부채의 양이
국가 전체가 1년에 벌어들이는
소득과 같다는 뜻입니다.
이제 그 부채의 이자율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이자율이 2%라고 가정해 봅시다.
부채가 2%로 증가하고 있다면
그 이자율 때문에
소득은 1% 정도만 증가합니다.
부채 부담은 결코 줄어들지 않습니다.
소득 증가율만큼
이자율보다 높은 소득 증가율을
충분한 돈을 찍어내야 합니다.
그러나 돈을 찍어내는 것은
쉽게 남용될 수 있습니다.
쉽게 남용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다른 대안보다 이를 선호합니다.
핵심은 너무 많은 돈을 인쇄하여
용납할 수 없는 높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는 것을
독일이 1920년대에
1920년대의 디레버리징.
정책 입안자들이 적절한 균형을 이룬다면
디레버리징은 매우 극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성장은 느리지만 부채 부담은 줄어듭니다.
이것이 바로 아름다운 디레버리징입니다.
소득이 증가하기 시작하면
대출자들의 신용 가치가 높아지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차입자가 신용 가치가 높아지면,
대출 기관은 다시 돈을 빌려주기 시작합니다.
마침내 부채 부담이 감소하기 시작합니다,
돈을 빌릴 수 있게 되면
사람들은 더 많이 소비할 수 있게 됩니다.
결국 경제는 다시 성장하기 시작합니다,
리플레이션 단계로 이어집니다.
리플레이션 단계로 이어집니다.
디레버리징 과정은
잘못 처리하면 끔찍할 수 있지만,
잘 처리하면
결국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부채 부담이 감소하려면 대략 10년 이상
부채 부담이 감소하고
경제 활동이 정상으로 돌아오기까지
그래서 로스테이라는 용어가 생겼습니다.
마지막으로.
물론 경제는
은 이 템플릿이 제시하는 것보다
조금 더 복잡합니다.
하지만 장기 부채 주기 위에 단기 부채
주기를 장기 부채 주기 위에
그리고 이 두 가지를
생산성 성장선 위에
합리적으로 좋은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우리가 어디까지 왔는지
현재 위치,
그리고 우리가 어디로 향하고 있는지 알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세 가지 경험 법칙이 있습니다.
세 가지 법칙이 있습니다.
첫째,
부채가 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하지 않도록 하세요.
부채 부담이
결국 당신을 무너뜨릴 것이기 때문입니다.
둘째,
소득이 생산성보다 빠르게 증가하지 않도록 하세요.
결국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셋째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세요.
장기적으로는
그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여러분을 위한 간단한 조언이며
정책 입안자에게도 간단한 조언입니다.
놀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대부분의 정책 입안자를 포함한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습니다.
이 템플릿은 저에게 가치가 있으며
여러분에게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영문 원본 ]
How the economic machine works in 30 minutes.
The economy works like a simple machine,
but many people don't understand it, or they don't agree on how it works,
and this is led to a lot of needless economic suffering.
I feel a deep sense of responsibility to share my simple but practical economic template.
Though it's unconventional, it has helped me to anticipate and decide
step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nd it has worked well for me for over 30 years.
Let's begin.
Though the economy might seem complex, it works in a simple mechanical way.
It's made up of a few simple parts and a lot of simple transactions that are repeated over and over again, a zillion times.
These transactions are above all else driven by human nature,
and they create three main forces that drive the economy.
Number one, productivity growth.
Number two, the short term debt cycle.
And number three, the long term debt cycle.
We'll look at these three forces and how laying them on top of each other creates a good template for tracking economic movements and figuring out what's happening now.
Let's start with the simplest part of the economy.
Transactions.
An economy is simply the sum of the transactions that make it up,
and a transaction is a very simple thing.
You make transactions all the time.
Every time you buy something, you create a transaction.
Each transaction consists of a buyer,
exchanging money or credit with a seller for goods, services, or financial assets.
Credit spends just like money,
so adding together the money spent and the amount of credit spent,
you can know the total spending.
The total amount of spending drives the economy.
If you divide the amount spent by the quantity sold, you get the price.
And that's it.
That's a transaction.
It's the building block of the economic machine.
All cycles and all forces in an economy are driven by transactions,
so if we can understand transactions, we can understand the whole economy.
A market consists of all the buyers and all the sellers making transactions for the same thing.
For example, there is a wheat market, a car market, a stock market,
and markets for millions of things.
An economy consists of all of the transactions in all of its markets.
If you add up the total spending and the total quantity sold in all of the markets,
you have everything you need to know to understand the economy.
It's just that simple.
People, businesses, banks and governments,
all engage in transactions the way I just described,
exchanging money and credit for good services and financial assets.
The biggest buyer in seller is the government,
which consists of two important parts,
a central government that collects taxes and spends money,
and a central bank,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buyers and sellers,
because it controls the amount of money and credit in the economy.
It does this by influencing interest rates and printing new money.
For these reasons, as we'll see,
the central bank is an important player in the flow of credit.
I want you to pay attention to credit.
Credit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economy and probably the least understood.
It's the most important part because it's the biggest and most volatile part.
Just like buyers and sellers go to the market to make transactions,
so delenders and borrowers.
Lenders usually want to make their money into more money,
and borrowers usually want to buy something they can't afford,
like a house or a car,
or they want to invest in something like starting a business.
Credit can help both lenders and borrowers get what they want.
Borrowers promise to repay the amount they borrow,
called principle, plus an additional amount, called interest.
When interest rates are high,
there is less borrowing because it's expensive.
When interest rates are low,
borrowing increases because it's cheaper.
When borrowers promise to repay,
and lenders believe them, credit is created.
Any two people can agree to create credit out of thin air.
That seems simple enough, but credit is tricky
because it has different names.
As soon as credit is created,
it immediately turns into debt.
Debt is both an asset to the lender and a liability to the borrower.
In the future, when the borrower repays the loan,
plus interest, the asset and the liability disappear,
and the transaction is settled.
So why is credit so important?
Because when a borrower receives credit,
he is able to increase his spending.
And remember, spending drives the economy.
This is because one person's spending is another person's income.
Think about it.
Every dollar you spend someone else earns,
and every dollar you earn someone else has spent.
So when you spend more, someone else earns more.
When someone's income rises,
it makes lenders more willing to lend him money
because now he's more worthy of credit.
A credit worthy borrower has two things.
The ability to repay and collateral.
Having a lot of income in relation to his debt
gives him the ability to repay.
In the event that he can't repay,
he has valuable assets to use as collateral that can be sold.
This makes lenders feel comfortable lending him money.
So increased income allows increased borrowing,
which allows increased spending.
And since one person's spending is another person's income,
this leads to more increased borrowing and so on.
This self-reinforcing pattern leads to economic growth
and is why we have cycles.
In a transaction,
you have to give something in order to get something.
And how much you get depends on how much you produce.
Over time we learn and that accumulated knowledge
raises our living standards.
We call this productivity growth.
Those who are inventive and hardworking
raise their productivity and their living standards faster
than those who are complacent and lazy.
But that isn't necessarily true over the short run.
Productivity matters most in the long run,
but credit matters most in the short run.
This is because productivity growth doesn't fluctuate much,
so it's not a big driver of economic swings.
That is, because it allows us to consume more than we produce
when we acquire it and it forces us to consume less than we produce
when we have to pay it back.
Death swings occur in two big cycles.
One takes about five to eight years
and the other takes about 75 to 100 years,
while most people feel the swings,
they typically don't see them as cycles
because they see them too up close,
day by day, week by week.
In this chapter we're going to step back
and look at these three big forces
and how they interact to make up our experiences.
As mentioned, swings around the line
are not due to how much innovation or hard work there is.
They're primarily due to how much credit there is.
Let's for a second imagine an economy without credit.
In this economy, the only way I can increase my spending
is to increase my income,
which requires me to be more productive and do more work.
Increased productivity is the only way for growth.
Since my spending is another person's income,
the economy grows every time I or anyone else is more productive.
If we follow the transactions and play this out,
we see a progression like the productivity growth line.
But because we borrow, we have cycles.
This isn't due to any laws or regulations,
it's due to human nature and the way that credit works.
Think of borrowing as simply a way of pulling spending forward.
In order to buy something you can't afford,
you need to spend more than you make.
To do this, you essentially need to borrow from your future self.
In doing so, you create a time in the future
that you need to spend less than you make in order to pay it back.
It very quickly resembles a cycle.
Basically, anytime you borrow, you create a cycle.
This is as true for an individual as it is for the economy.
This is why understanding credit is so important
because it sets into motion and mechanical, predictable,
series of events t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This makes credit different from money.
Money is what you settle transactions with.
When you buy a beer from a bartender with cash,
the transaction is settled immediately.
But when you buy a beer with credit,
it's like starting a bartender.
You're seeing you promise to pay in the future.
Together, you and the bartender create an asset and a liability.
You just created credit out of thin air.
It's not until you pay the bartender
to have later that the asset and the liability disappear,
the debt goes away, and the transaction is settled.
The reality is that most of what people call money
is actually credit.
The total amount of credit in the United States
is about $50 trillion, and the total amount of money
is only about $3 trillion.
Remember, in an economy without credit,
the only way to increase your spending is to produce more.
But in an economy with credit, you can also increase your spending
by borrowing.
As a result, an economy with credit has more spending
and allows incomes to rise faster than productivity
over the short run, but not over the long run.
Now don't get me wrong.
Credit isn't necessarily something bad
that just causes cycles.
It's bad when it finances over consumption
that can't be paid back.
However, it's good when it efficiently allocates resources
and produces income so you can pay back the debt.
For example, if you borrow money to buy a big TV,
it doesn't generate income for you to pay back the debt.
But if you borrow money to say buy a tractor,
and that tractor lets you harvest more crops
and earn more money, then you can pay back your debt
and improve your living standards.
In an economy with credit, we can follow the transactions
and see how credit creates growth.
Let me give you an example.
Suppose you earn $100,000 a year and have no debt.
You are credit worthy enough to borrow $10,000.
Say on a credit card.
So you can spend $110,000 even though you only earn $100,000.
Since you're spending as another person's income,
someone is earning $110,000.
The person earning $110,000 with no debt
can borrow $11,000.
So he can spend $121,000 even though he is only earned $110,000.
His spending is another person's income
and by following the transactions,
we can begin to see how this process works
in a self-reinforcing pattern.
But remember, borrowing creates cycles
and if the cycle goes up, it eventually needs to come down.
This leads us into the short-term debt cycle.
As economic activity increases,
we see an expansion.
The first phase of the short-term debt cycle.
Spending continues to increase
and prices start to rise.
This happens because the increase in spending
is fueled by credit,
which can be created instantly out of thin air.
When the amount of spending and incomes
grow faster than the production of goods,
prices rise.
When prices rise,
we call this inflation.
The central bank doesn't want too much inflation
because it causes problems.
Seeing prices rise, it raises interest rates.
With higher interest rates,
fewer people can afford to borrow money
and the cost of existing debt surprises.
Think about this as the monthly payments
on your credit card going up.
Because people borrow less
and have higher debt repayments,
they have less money left over to spend,
so spending slows.
And since one person's spending
is another person's income,
income's drop,
and so on and so forth.
When people spend less
prices go down,
we call this deflation.
Economic activity decreases
and we have a recession.
If the recession becomes too severe
and inflation is no longer a problem,
the central bank will lower interest rates
to cause everything to pick up again.
With low interest rates,
debt repayments are reduced
and borrow and spending pick up.
And we see another expansion.
As you can see,
the economy works like a machine.
In the short-term debt cycle,
spending is constrained only by the willingness
of lenders and borrowers
to provide and receive credit.
When credit is easily available,
there's an economic expansion.
When credit isn't easily available,
there's a recession.
And note that this cycle is controlled
primarily by the central bank.
The short-term debt cycle
typically lasts five to eight years
and happens over and over again for decades.
But notice that the bottom
and top of each cycle finish
with more growth in the previous cycle
and with more debt.
Why?
Because people push it,
they have an inclination to borrow
and spend more instead of paying back debt.
It's human nature.
Because of this, over long periods of time,
debt's rise faster than incomes,
creating the long-term debt cycle.
Despite people becoming more indebted,
lenders even more freely extend credit.
Why?
Because everyone thinks things are going great.
People are just focused on what's been happening lately.
And what's been happening lately?
Incomes have been rising.
Asset values are going on.
The stock market roars.
It's a boom.
It pays to buy goods, services,
and financial assets with borrowed money.
When people do a lot of that,
we call it a bubble.
So even though debts have been growing,
incomes have been growing nearly as fast
to offset them.
Let's call the ratio of debt to income,
the debt burden.
So long as incomes continue to rise,
the debt burden stays manageable.
At the same time, asset values for.
People borrow huge amounts of money
to buy assets as investments,
causing their prices to rise even higher.
People feel wealthy.
So even with the accumulation of lots of debt,
rising incomes,
asset values help borrowers remain credit worthy for a long time.
But this obviously cannot continue forever.
And it doesn't.
Over decades, debt burden slowly increased,
creating larger and larger debt repayments.
At some point, debt repayments start growing faster than incomes,
forcing people to cut back on their spending.
And since one person's spending is another person's income,
incomes begin to go down.
Which makes people less credit worthy,
causing borrowing to go down.
debt repayments continue to rise,
which makes spending drop even further.
And the cycle reverses itself.
This is the long-term debt peak.
debt burdens have simply become too big.
For the United States,
Europe and much of the rest of the world
this happened in 2008.
It happened for the same reason it happened in Japan in 1989,
and in the United States back in 1929.
Now the economy begins the leveraging.
In a delivering,
people cut spending,
incomes fall, credit disappears,
asset prices drop,
banks get squeezed,
the stock market crashes,
social tensions rise,
and the whole thing starts to feed on itself the other way.
As incomes fall and debt repayments rise,
borrowers get squeezed,
no longer credit worthy,
credit dries up,
and borrowers can no longer borrow enough money
to make their debt repayments.
Scrambleing to fill this hole,
borrowers are forced to sell assets.
The rush to sell assets
floods the market at the same time as spending tools.
This is when the stock market collapses.
The real estate market tanks
and banks get into trouble.
As asset prices drop,
the value of the collateral borrowers can put up drops.
This makes borrowers even less credit worthy.
People feel poor,
credit rapidly disappears.
Less spending, less income,
less wealth, less credit,
less borrowing, and so on.
It's a vicious cycle.
This appears similar to a recession,
but the difference here is that interest rates can't be lowered to save the day.
In a recession,
lowering interest rates works to stimulate borrowing.
However, in a delivering,
lowering interest rates doesn't work
because interest rates are already low,
and soon hits 0%.
So the stimulation ends.
Interest rates in the United States
hit 0% during the delivery of the 1930s,
and again in 2008.
The difference between a recession and a delivering
is that in a delivering,
borrowers debt burdens have simply gotten too big
and can't be relieved by lowering interest rates.
Lenders realize that debts have become too large
to ever be fully paid back.
borrowers have lost their ability to repay
and their collateral has lost value.
They feel crippled by the debt.
They don't even want more.
Lenders stop lending, borrowers stop borrowing,
think of the economy as being not credit worthy,
just like an individual.
So what do you do about a deleveraging?
The problem is debt burdens are too high
and they must come down.
There are four ways this can happen.
One, people, businesses,
and governments cut their spending.
Two, debts are reduced through defaults
and restructuring.
Three, wealth is redistributed
from the halves to the half knots.
And finally, four,
the central bank prints new money.
These four ways have happened
in every deleveraging and modern history.
Usually spending is cut first.
As we just saw, people businesses
and even governments tighten their belts
and cut their spending
so that they can pay down their debt.
This is often referred to as austerity.
When borrowers stop taking on new debts
and start paying down old debts,
you might expect the debt burden to decrease.
But the opposite happens.
Because spending is cut
and one man spending is another man's income,
it causes incomes to fall.
They fall faster than debts are repaid
and the debt burden actually gets worse.
As we've seen,
this cut in spending is deflationary and painful.
Businesses are forced to cut costs,
which means less jobs
and higher unemployment.
This leads to the next step.
debts must be reduced.
Many borrowers find themselves unable to repay their loans
and a borrowers' debts are a lender's assets.
When a borrower doesn't repay the bank,
people get nervous
that the bank won't be able to repay them
so they rush to withdraw their money from the bank.
Banks get squeezed and people businesses
and banks default on their debts.
This severe economic contraction
is a depression.
A big part of a depression
is people discovering much of what they thought was their wealth
isn't really there.
Let's go back to the bar.
When you bought a beer
and put it on a bar tab,
you promised to repay the bartender.
Your promise became an asset of the bartender.
But if you break your promise,
if you don't pay him back
and essentially default on your bar tab,
then the asset he has isn't really worth anything.
It has basically disappeared.
Many lenders don't want their assets to disappear
and agree to debt restructuring.
debt restructuring means lenders get paid back less
or get paid back over a longer time frame
or at a lower interest rate than was first agreed.
Somehow, a contract is broken in a way
that reduces debt.
Lenders would rather have a little of something
than all of nothing.
Even though debt disappears,
debt restructuring causes income
and asset values to disappear faster
so the debt burden continues to get worse.
Like cutting spending,
debt reduction is also painful and deflationary.
All of this impacts the central government
because lower incomes and less employment
means the government collects fewer taxes.
At the same time,
it needs to increase its spending
because unemployment is risen.
Many of the unemployed
have inadequate savings
and need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Additionally, governments create stimulus plans
and increase their spending
to make up for the decrease in the economy.
Governments budget deficits explode
in a delivering
because they spend more than they earn in taxes.
This is what's happening
when you hear about the budget deficit on the news.
To fund their deficits,
governments need to either raise taxes
or borrow money.
But within comes falling
and so many unemployed,
who is the money going to come from?
The rich.
Since governments need more money
and since wealth is heavily concentrated
in the hands of a small percentage of the people,
governments naturally raise taxes on the wealthy,
which facilitates a redistribution of wealth
in the economy from the halves to the half-nots.
The half-nots who are suffering
begin to resent the wealthy halves.
The wealthy halves
being squeezed by the weak economy
falling asset prices
and higher taxes begin to resent the half-nots.
If the depression continues,
social disorder can break out.
Not only do tensions rise within countries,
they can rise between countries,
especially data-incredited countries.
This situation can lead to political change
that can sometimes be extreme.
In the 1930s,
this led to Hitler coming to power
war in Europe and de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Pressure to do something
to end the depression increases.
Remember most of what people thought
was money was actually credit.
So when credit disappears,
people don't have enough money.
People are desperate for money
and you remember who can print money.
The Central Bank can.
Having already lowered its interest rates
to nearly zero,
it's forced to print money.
Unlike cutting spending,
debt reduction
and wealth redistribution,
printing money is inflationary and stimulative.
Inevitably,
the Central Bank prints new money
out of thin air
and uses it to buy financial assets
and government bonds.
It happened in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Great Depression
and again in 2008
when the United States Central Bank,
the Federal Reserve printed over $2 trillion.
Other Central Banks around the world
that could print it a lot of money too.
By buying financial assets with this money,
it helps drive up asset prices
which makes people more credit worthy.
However, this only helps those who own financial assets.
You see the Central Bank can print money
but it can only buy financial assets.
The Central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can buy goods and services
and put money in the hands of the people
but it can't print money.
So in order to stimulate the economy,
the two must cooperate.
By buying government bonds,
the Central Bank essentially lends money
to the government,
allowing it to run a deficit
and increase spending
on goods and services
through its stimulus programs
and unemployment benefits.
This increases people's income
as well as the government's debt.
However, it will lower the economy's total debt burden.
This is a very risky time.
Policy makers need to balance
the four ways that debt burdens come down.
The deflationary ways need to balance
with the inflationary ways
in order to maintain stability.
If balanced correctly,
there can be a beautiful delivery region.
You see, a delivery drink can be ugly
or it can be beautiful.
How can a delivery drink be beautiful?
Even though a delivery drink is a difficult situation,
handling a difficult situation
in the best possible ways beautiful,
a lot more beautiful than the debt fueled
unbalanced excesses of the leveraging phase.
In a beautiful delivery drink,
debts decline relative to income,
real economic growth is positive
and inflation isn't a problem.
It is achieved by having the right balance.
The right balance requires a certain mix
of cutting spending, reducing debt,
transferring wealth and printing money
so that economic and social stability
can be maintained.
People ask if printing money
will raise inflation.
It won't if it offsets falling credit.
Remember, spending is what matters.
A dollar of spending paid for with money
has the same effect on price as a
dollar spending paid for with credit.
By printing money,
the central bank can make up for
the disappearance of credit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money.
In order to turn things around,
the central bank needs to not only
pump up income growth,
but get the rate of income growth
higher than the rate of interest
on the accumulated debt.
So what do I mean by that?
Basically, income needs to grow
faster than debt grows.
For example,
let's assume that a country
going through a delivering has a debt
to income ratio of 100%.
That means that the amount of debt it has
is the same as the amount of income
the entire country makes in a year.
Now think about the interest rate on that debt.
Let's say it's 2%.
If debt is growing at 2%,
because of that interest rate,
an income is only growing at around 1%.
You will never reduce the debt burden.
You need to print enough money
to get the rate of income growth
above the rate of interest.
However, printing money
could easily be abused
because it's so easy to do
and people prefer it to the alternatives.
The key is to avoid printing too much money
and causing unacceptable high inflation
the way Germany did during its
de-leveraging in the 1920s.
If policy makers achieve the right balance,
a de-leveraging is in so dramatic.
Growth is slow, but debt burdens go down.
That's a beautiful de-leveraging.
When incomes begin to rise,
borrowers begin to appear more credit worthy.
And when borrowers appear more credit worthy,
lenders begin to lend money again.
Debt burdens finally begin to fall,
able to borrow money,
people can spend more.
Eventually, the economy begins to grow again,
leading to the reflation phase
of the long-term debt cycle.
Though the de-leveraging process
can be horrible if handled badly,
if handled well,
it will eventually fix the problem.
It takes roughly a decade or more
for debt burdens to fall
and economic activity to get back to normal
hence the term, law-stecay.
In closing.
Of course, the economy
is a little bit more complicated
than this template suggests.
However, laying the short-term debt
cycle on top of the long-term debt cycle,
and then laying both of them
on top of the productivity growth line
gives a reasonably good template
for seeing where we've been,
where we are now,
and where we're probably headed.
So, in summary,
there are three rules of thumb
that I'd like you to take away from this.
First,
don't have debt rise faster than income
because your debt burdens
will eventually crush you.
Second,
don't have income rise faster than productivity
because you'll eventually become uncompetitive
and third,
do all that you can to raise your productivity
because in the long run,
that's what matters most.
This is simple advice for you
and it's simple advice for policy makers.
You might be surprised,
but most people,
including most policy makers,
don't pay enough attention to this.
This template is worth for me
and I hope it will work for you.
Thank you.
'IT 인터넷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연설 중 하나 | 제프 베조스 :: ChatGPT 정리 (0) | 2023.03.08 |
---|---|
레이 달리오의 변화하는 세계 질서에 대처하기 위한 원칙 :: ChatGPT 정리 (0) | 2023.03.08 |
말문이 막히는 엘론 머스크의 연설 | 엘론 머스크 동기부여 :: ChatGPT 정리 (0) | 2023.03.08 |
매일 이 영상을 보고 인생을 바꾸세요 - 덴젤 워싱턴 동기부여 연설 2023 :: ChatGPT 정리 (0) | 2023.03.07 |
부자와 가난한 자의 마음가짐 | 로버트 키요사키의 놀라운 인터뷰 :: ChatGPT 정리 (0) | 2023.03.07 |